우리 지구에는 위성이 하나이다. 달이 지구를 도는 유일한 자연위성이기 때문이다. 목성의 달은 큰 것이 16개, 작은 것까지 하면 120여 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위성은 말 그대로 인공으로 만들어 띄운 달, 즉 위성이다. 달처럼 일정한 고도에서 궤도를 따라 지구를 도는 물체이다. 목성의 위성을 크기로 나누듯, 인공위성도 무게와 크기에 따라, 또는 궤도에 따라 나누기도 한다. 그러나 인공위성은 무엇엔가 쓰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 띄운 비행물체여서, 개발 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인공위성은 개발 목적에 따라 방송ㆍ통신위성, 지구 관측 위성, 행성 탐사 위성, 지구 원격탐사 위성, 항행 위성, 기술시험 위성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지구 관측 위성
지구 관측 위성은 바다와 육지에 관한 자료를 관측하는 인공위성이다. 바다에 관련된 자료로는 바다 표면의 온도, 조류의 방향, 바다 수면의 높이 등을 관찰하고, 육지에 관련된 조사로는 지하자원의 탐사, 화산 활동, 농작물 상태, 수확량 예측, 산림의 분포, 하천과 바다의 오염상태 등을 관찰한다.
지구 관측 위성의 대표적인 위성은 미국의 랜드샛 위성인데, 1972년 7월 높이 900km의 태양 동기 궤도에 발사돼 하루에 14회씩 지구를 회전하며 관측하였다. 이 위성은 18일마다 일정한 지점을 같은 시간에 통과하여 동일한 장소의 변화를 계속 관측할 수 있다. 현재는 1999년 4월 15일 발사된 무게 2.2톤짜리 랜드샛 7호가 활동을 하고 있다. 5호는 높이 705km의 태양 hdrl 궤도에 진입하여 16일마다 한 번씩 같은 지점을 통과한다. 사진의 해상도는 30m로 랜드샛 3호의 80m보다 훨씬 좋아졌다. 사진의 해상도가 30m라는 의미는 지상의 물체 크기가 최소한 30X30m는 돼야 사진에서 그 모양을 알 수 있다는 뜻이다. 지구 관측위성에 싣는 관측 장비로는 가시광역 센서, 광학 센서, 수직온도 분포 관측 센서, 전파 센서, 레이다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아리랑 1호는 초기의 지구 관측 위성이다. 무게는 450kg이며 675km의 태양 동기 궤도에 발사되었다. 해상도는 6.6m이다. 2000년부터 개발해온 아리랑 2호는 무게가 800kg이며 해상도는 1m인데 2006년 7월에 발사할 예정이다.
출처 : 「교양으로 읽는 과학의 모든 것」2권의 ‘인공위성의 종류와 역할’ 중. 채연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위원)
오늘의 과학사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ㆍㆍㆍㆍㆍ
- 1994년 Hubble 우주 망원경으로 고리를 가진 천왕성 촬영.
life_inform/science 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