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_inform/science cs

부동액은 겨울에만 필요한가

by ciwhiz 2012. 5. 7.

단어만 보면 겨울철에만 필요할 것 같은 부동액. 하지만, 여름철에도 꼭 필요하다고 한다. 과연 부동액이 무엇으로 만들어지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부동액 설명에 앞서 우선 물의 특성을 잠깐 살펴보자. 순수한 물은 대기압에서 100도면 끓는다. 그러나 압력이 높아지면 물의 끓는점도 높아진다. 다시 말해 밀폐된 통 속에 들어 있는 물은 100도보다 훨씬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이론적으로는 용기가 물의 증기압을 견디지 못하고 폭발할 때까지 계속 가열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나 물보다 끓는점이 훨씬 높은 화합물이나 소금 같은 염을 물에 용해시키면, 물의 끓는점이 높아져 100도에서도 끓지 않게 된다. 그뿐 아니라 물이 어는 온도도 낮아진다. 다시 말해 0도 이하에서도 물이 얼지 않고 액체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부동액이 겨울에는 얼지 않게 하고, 여름에는 끓어 넘치지 않게 하는 이중적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부동액으로 사용하는 액체의 주성분은 에틸렌글리콜이라는 화합물로 에탄올의 사촌쯤 되는 알코올류인데, 끓는점은 197도이고 어는점은 영하 13도다. 에틸렌글리콜은 물과 잘 섞이고 값도 싸며 부동액으로서의 효능도 우수하다.
그러나 부동액은 에틸렌글리콜만으로는 부족하다. 부식된 냉각장치에서 떨어져나온 덩이들이 냉각기를 막으면 엔진이 과열될 위험이 있으므로 부동액에는 대개 부식 방지제를 넣어준다. 여기에는 보통 아질산염과 트리에탄올아민이 사용된다. 또 냉각수의 산성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여분의 알칼리 성분도 들어 있다. 근래에는 밀봉제도 넣어 냉각기에 생긴 미세 구멍으로 냉각수가 새나오는 것을 막기도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요인으로 부동액이 거품을 만들 때가 있는데 이렇게 되면 냉각 기능이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거품 방지제도 섞는다.

출처 : 「진정일의 교실 밖 화학 이야기」 ‘부동액은 여름에도 필요하다’ 중


오늘의 과학문화사 (11월 27일)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 1701년 스웨덴의 천문ㆍ물리학자 Anders Celsius 출생. 물의 어는점과 끓는 점
   사이를 100으로 나누는 섭씨온도 제창.
- 1754년 프랑스의 수학자 Abraham de Moivre 사망. 복소수에 관한 '드무아브르의
   정리'.
- 1857년 영국의 생리학자 Sir Charles Scott Sherrington 출생. 중추신경계 연구로
   1932년 노벨 생리ㆍ의학상 수상.
- 1871년 이탈리아 물리학자 Giovanni Giorgi 출생. 국제적 도량형(미터법) 제안,
   1960년에 승인됨.
- 1895년 노벨 유언장 공개. 1901년 같은 날 노벨상 제정.
- 1903년 노르웨이 태생 미국 화학ㆍ물리학자 Lars Onsager 출생. 비가역반응의
   열역학에서의 기초이론으로 1968년 노벨화학상 수상.
- 1922년 영국 고고학자 Howard Carter에 의해 투탕카멘의 무덤 발견.
- 1981년 경주 고분에서 구리거울 등 한 나라 유물 출토.
- 1989년 시카고 대학병원에서 Christoph Broelsch's 박사팀, 세계 최초로 살아있는
   기증자의 간 이식 수술 성공.